잡크래프팅과 과업정체성이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Autor: | Seo, Alim, Jung, Yeseul, Sohn, Young Woo |
---|---|
Jazyk: | angličtina |
Rok vydání: | 2018 |
Předmět: | |
Zdroj: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호. 31 번호. 1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49-173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1 No. 1 (2018):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49-173 |
ISSN: | 1229-0696 2671-4345 |
DOI: | 10.24230/kjiop.v31i1 |
Popis: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ask ident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task 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adults who have been working for at least six months. Supporting the hypotheses, task ident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Also, PO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job crafting and task identity significantly, suggesting that job crafting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task identity as POS was strengthened.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ask identity was moderated by POS in the relation between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suggesting that PO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ask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잡크래프팅과 일의 의미의 관계에서 과업정체성과 조직지원인식의 역할을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특히 과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통해 잡크래프팅과 일의 의미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잡크래프팅이 과업정체성에 영향을 줌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와 잡크래프팅이 과업정체성을 통해 일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6개월 이상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현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잡크래프팅과 일의 의미의 관계에서 과업정체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잡크래프팅과 일의 의미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과 조직지원인식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했으며, 조직지원인식이 높을 때, 잡크래프팅이 과업정체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커졌다. 추가적으로 잡크래프팅이 과업정체성의 매개를 통해 일의 의미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 연구 제언이 논의되었다. |
Databáze: | OpenAIRE |
Externí odka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