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upervisor’s job crafting on employee’s creative behavior
Autor: | Chung, HyunSun, Ahn, JongDae |
---|---|
Rok vydání: | 2020 |
Předmět: | |
Zdroj: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호. 33 번호. 2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19-143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3 No. 2 (2020):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19-143 |
ISSN: | 2671-4345 1229-0696 |
DOI: | 10.24230/kjiop.v33i2.119-143 |
Popis: | 본 연구는 지각된 상사의 잡 크래프팅과 부하의 잡 크래프팅의 관계, 그리고 부하의 잡 크래프팅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지각된 상사의 잡 크래프팅이 부하의 잡 크래프팅을 거쳐 창의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효과와 상사 동일시 수준에 따른 간접효과의 조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패널을 보유한 데이터 설문업체를 통해 총 31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상사의 잡 크래프팅 수준이 높을수록 부하의 잡 크래프팅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하의 잡 크래프팅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적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하의 잡 크래프팅이 상사의 잡 크래프팅과 부하의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의 잡 크래프팅이 부하의 잡 크래프팅을 거쳐 창의적 행동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상사 동일시의 수준에 따라 조절됨이 관찰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상사 동일시의 수준이 높을수록 상사의 잡 크래프팅의 창의적 행동에 관한 간접효과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연구가 갖는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ived supervisor’s job crafting on employee’s creative behavior and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job crafting.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identification with supervis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job crafting and employee’s job crafting which is called “behavioral contagion”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317 participants provided evidence that (1) perceived supervisor’s job craft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job crafting, (2) employee’s job craft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creative behavior, (3) employee’s job craft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job crafting and employee’s creative behavior, (4) identification with superviso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ervisor’s job crafting and employee’s job crafting which is called behavior contagion in this study, (5) identification with supervisor also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s job crafting on cre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general discussion such a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last section. |
Databáze: | OpenAIRE |
Externí odka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