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Workplace Isolation in Remote Working:: The Analysis of Workplace Isolation Perceptionand The Effect on Work Engagement

Autor: Saegyoung Song, Jihoon Song
Jazyk: angličtina
Rok vydání: 2022
Předmět:
Zdroj: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호. 35 번호. 3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559-581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5 No. 3 (2022):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59-581
ISSN: 1229-0696
2671-4345
DOI: 10.24230/kjiop.v35i3
Popis: Remote Working is One of the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due to COVID-19. In remote work situations, Workplace isolation occurs. And Workplace isolation affects not only individual emo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but also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d cope with workplace isol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 workplace isolation. In this study, topic modeling was used to investigate workplace isolation and perception of cause and consequen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orkplace isol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relational and work dimensions. And workplace isolation occurs due to physical separation, resulting in an effect on work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tri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physical isolation on work engagement through social isolation and professional isolation. As a result, physical isolation increases social isolation and professional isol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work engagement was negatively supported.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solation and work engag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is necessary for employee’s work engagement, focusing on workplace isolation in the remote work situation.
코로나 19 상황에서 원격근무 시행으로 업무 환경이 변화되어 직장 내 고립감이 발생하고 있다. 직장 내 고립감은 개인의 정서, 태도, 행동뿐만 아니라 조직 분위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방 및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조직 구성원이 직장 내 고립감과 이에 대한 원인 및 결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직장 내 고립감과 이에 대한 원인과 결과 인식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직장 내 고립감은 크게 관계적 차원과 업무적 차원으로 구분되며, 물리적 분리로 인해 직장 내 고립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물리적 고립이 사회적 고립과 전문적 고립을 통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고립은 사회적 고립과 전문적 고립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고립은 직무 열의를 낮추지만, 전문적 고립은 직무 열의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격근무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직장 내 고립감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확인하고, 직장 내 고립감과 직무 열의와 영향 관계를 밝힘으로써, 직장 내 고립감을 중심으로 원격근무 상황의 조직 구성원이 직무에 몰입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자원 개발의 측면의 지원에 대해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atabáze: OpenA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