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is: |
Korean Abstract: 2017년 미국의 단계적인 금리인상은 개연성이 높은 예상된 글로벌 충격으로 이러한 전망을 명시적으로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금리 기간구조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채권 포트폴리오 투자자뿐만 아니라 가계부채를 관리해야 하는 정책․감독당국에게도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말 시점을 기준으로 2017년중 예상된 미국 발 글로벌 충격이 우리나라의 수익률 곡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고자 한다.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은 FOMC의 점 도표에서 보는 것처럼 단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본 연구는 Nogueira(2010)의 주요인분석(PCA)을 기반으로 전망을 반영하는 기간구조 예측 방법론을 다기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응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17년 미국의 4 차례 정책금리 인상(정책금리 밴드 중간값 기준으로 2016년말 0.625%에서 분기별로 0.67%→0.87%→0.94%→1.17%)에 대한 블룸버그 서베이 전망(view)을 벤치마크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우리나라의 수익률 곡선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수익률 곡선은 평균적으로 0.71%p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미국의 정책금리가 전망대로 0.55%p 상승하는 경우 우리나라의 정책금리를 과거 글로벌 요인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변하도록 허용한다면 0.39%p 정도 상승압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말 현재 관측되고 있는 미국과 한국의 장기금리차 역전현상은 2017년 중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English Abstract: The Federal Reserve raised its benchmark rate to 0.5-0.75% on December 2016 for just the second time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At least three further rates increase in 2017 is widely expected with arguably very low uncertainty, and therefore, it may be regarded as an anticipated global shock.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impact of the global shocks such as the anticipated 2017 U.S. policy rates increase on predictions of Korea’s yield curves. For this task, this paper adopts the Nogueira’s (2010) PCA-based prediction method which allows to use analyst’s views and to handle the problem of forecasting the vector of interest rates of more than one country. Following the survey results collected by Bloomberg, it is assum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hat U.S. benchmark rates would increase from 0.625% in December 2016 to 0.67%→0.87%→0.94% →1.17% each quarter in 2017. Assuming 95 per cent confidence of these views, the Korea’s yield curve is predicted to shift upward on average by 0.71%p by the end of year 2017. Korea’s policy rate would more likely to increase by 0.39%p if U.S. benchmark rate increases by 0.55%p according to analysts’ views and if Korea’s policy rate is allowed to adjust freely reflecting the historical correlations with the global factor and yields with different maturities in two bond marke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