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that Nurture Labor and Household Labor of Temporarily Employed Women Who Experience Work Discontinuity Have on Their Labor Market Re-entry Satisfaction Levels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labor Conditions and Work and Family Life Balance Policy

Autor: Mun-Soo Kim
Rok vydání: 2016
Předmět:
Zdroj: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19:81-118
ISSN: 1598-1835
Popis: 본 연구는 비정규직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정규직 경력단절 여성의 돌봄노동 · 가사노동이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일 · 가족양립제도와 근로조건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첫째, 비정규직 경력단절 여성의 돌봄노동 · 가사노동은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경력단절 여성의 돌봄노동 · 가사노동과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 관계에서 일 · 가족양립제도는 매개역할을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정규직 경력단절 여성의 돌봄노동 · 가사노동과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 관계에서 근로조건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경력단절 여성은 미래 노동력에서 중요한 인적자원이므로 인적자원 개발 측면에서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노동 · 가사노동에 대한 남성의 분담을 증가시킴으로서 여성의 분담시간을 감소시켜야 한다. 둘째, 돌봄노동 · 가사노동에 대하여 가족 내 역할인식을 제고하고, 부부의 의견을 수용하여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를 높이도록 한다. 셋째. 비정규직 경력단절 여성에게 일 · 가족양립제도에 대한 홍보와 비정규직에게도 정규직과 동일한 일 · 가족양립제도 혜택을 주는 근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Databáze: OpenA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