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is: |
악안면기형의 분석 및 치료에 있어서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기반으로 한 2차원 평면기준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은 약 30년 전부터 현재까지 많은 임상가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1-3). 2차원 기반의 악안면기형의 분석은 장기간의 연구결과가 누적되어 있어 예측이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심한 악안면기형의 경우 두부방사선 계측사진 상 구조물의 중첩으로 인해 분석이 어렵고 수술 후 나타나는 3차원적 변화를 2차원 평면에서 예측해야 하기에 경험이 부족한 임상가의 경우 기형이 잔존하는 문제를 만들 수 있다 (4). 또한, 안면비대칭 중 하악골비대칭이 두드러진 경우 2차원을 기반으로 한 분석의 경우 두부규격분석으로 하악각 (gonial angle), 하악지 고경 (ramal height), 하악체 길이 (mandibular body length)등을 비교할 수 있으나, 이러한 값들은 X-ray 조사관으로부터 필름까지의 거리의 차이로 인해 확대율의 차이가 생기고, 따라서 우측 영상과 좌측 영상의 값에 차이가 나타나 잠재적으로 수술 후 비대칭의 잔존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5).영상에서부터 얻어지는 3D 영상은 앞에서 언급한 2차원적 분석의 한계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에는 3D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악안면기형 분야에 있어서도 3차원적인 분석과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중이며 3D를 이용한 기법이 증가하고 있다. 3차원 영상 처리 기법 및 가상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발달에 따라 2차원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치료법이 최근 많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단층촬영 (Computerized tomogra-phy, CT) 영상의 정밀도 향상과 3D 프린팅을 이용한 입체인쇄술의 발달로 환자 두개골, 악골과 악궁의 정밀한 3D 모형의 제작이 가능하고, 최근에는 실제 수술에 적용할 수 있는 guide를 3D printing 함으로써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수준까지 기법이 발달하였다 (6-8). 본 증례 보고에서는 하악골에 국한된 비대칭에 있어서 현재 적용할 수 있는 3차원 치료 프로토콜을 이용한 실제 환자의 치료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3D 영상 기술을 통한 가상수술의 임상적용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