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is: |
본 연구는 한국 내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의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각 기관 교육과정의 숙달도수준이 국제통용 한국어교육표준모형의 등급 체계와 비교해 어느 정도의 숙달도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참조 기준이 되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5~7급의 총괄목표와 화제, 기능 항목 및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 고급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화제, 기능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교육기관의 교육목표 및 교육 내용을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과 비교 분석하고, 교육기관 내 교육목표와 교육 내용 간 숙달도 수준도 비교분석하였다.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고급(5~6급)의 교육 목표는 사회적·추상적 화제에 대해 의사를 표현할 수 있으며 자신의 전문 분야나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 화제에 대한 발표, 토론, 대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제와 기능 교육 항목도 이에 맞춰 제시되었다. 분석대상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5, 6급 수준에서 7급에 이르기까지의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6급 목표로 ‘전문적 영역, 학문적 주제, 전문적 자료, 대학 강의 수준의 활동, 복잡하고 전문적인 활동’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7급에 해당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한국어 고급교육과정의 화제는 전반적으로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고급화제로 제시한 항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어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고급 수준과 일치하는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화제가 특정분야에 치우쳐 있고 화제를 전문적 깊이로 다루지 못하고 있어 각 교육기관이 설정한 고급 교육목표와 화제 사이에 수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대상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의 기능 범주는, 고급 수준의 기능 항목이 균형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초급이나 중급이 교육 권장 등급으로 제시된 기능의 출현 빈도가 높아,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제시한 것보다 낮은 수준을 보인다. 교육기관의 고급 기능 항목을 각 교육기관의 고급 교육목표와 비교해 볼 때도 상당한 수준 차이가 있다.(고려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