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ontingent relationship magnitude between pay and performance on social loafing behaviors

Autor: Choi, Insub, Lee, Kyehoon, Oah, Shezeen
Jazyk: angličtina
Rok vydání: 2013
Zdroj: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호. 26 번호. 1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03-118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6 No. 1 (2013):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03-118
ISSN: 1229-0696
2671-4345
DOI: 10.24230/kjiop.v26i1
Pop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ontingent relationship magnitude between pay and performance on social loafing behaviors and perception of the distributive justice. Sixty-four college students were applied in an ABC/ACB counter-balancing mixed factorial design(A: the high contingent relationship magnitude between pay and performance on individual performance, B: the high contingent relationship magnitude between pay and performance on team performance, C: the low contingent relationship magnitude between pay and performance on team performance), each participant attended 12 sessions in total. For this study, a brainstorming task was develop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sum of total idea frequency in the brainstorming task and the perception of the distributive justice. Analyses showed that each condition of contingent relationship magnitude between pay and performance had effectiveness in team idea frequency and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Result indicated that teamwork was better than individual work on performance. Also, the result suggested that social loafing behaviors or perception of the distributive justice could be effected depend upon the extent to which how the contingent relationship magnitude between pay and performance on team performance.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의 유관성 수준이 사회적 태만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으며, 추가적으로 강화의 유관성 수준에 따른 지각된 분배 공정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대학에 재학 중인 6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ABC/ACB 역균형 혼합 요인 설계가 적용되었다(A단계: 개인 수행에 따른 유관성 높은 강화 조건, B단계: 팀 수행에 따른 개인의 유관성 높은 강화 조건, C단계: 팀 수행에 따른 개인의 유관성 낮은 강화 조건). 전체 참가자들은 총 12회기의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아이디어 개발 과제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브레인스토밍 과업에서 팀별 참가자들의 아이디어 제공 빈도의 합계와 지각된 분배 공정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 조건별 강화 유관성 수준에 따라 팀 아이디어 제공 빈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팀 수행에 따른 개인의 유관성 높은 강화 조건(B단계)에서 수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 수행에 따른 개인의 유관성 낮은 강화(C단계)가 제공되었을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과업을 수행하는 경우(A단계)보다 수행이 낮아지는 사회적 태만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실시된 강화의 유관성 수준에 따른 분배 공정성의 차이는 ABC/ACB실험 조건에 따라 혼재된 결과가 나타났다.
Databáze: OpenA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