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tent Profile Analysis on Stress of Women managers

Autor: Joo, Jaehong, Jo, Hyeonah, Kim, Yesuh, Song, JiHoon
Jazyk: angličtina
Rok vydání: 2023
Předmět:
Zdroj: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호. 36 번호. 2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15-140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6 No. 2 (2023):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15-140
ISSN: 1229-0696
2671-4345
Popi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관리자의 잠재적 스트레스 유형 집단을 탐색하고, 이들이 겪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개별화된 관리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직장과 더불어 가정에서의 역할 수행으로 이중 부담을 겪는 여성 관리자들이 직면하는 스트레스 유형과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 접근 방식으로 여성 관리자가 겪는 스트레스를 유형화하여 면밀히 분석할 수 있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직장 및 가정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4개의 프로파일이 유의하게 식별되었다. 둘째, 본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변수 중 연령, 팀내 여성비율, 상사의 성평등에 대한 인식은 특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유의한 효과를 가졌으나, 배우자 취업 여부의 경우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변수 중 직장 및 가정스트레스가 가장 낮았던 프로파일의 경우 타집단에 비해 개인, 가족, 그리고 직업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의 직장생활에 대한 전반적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관리자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해소 방안에 대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exclusiv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to solve women managers’ stress by exploring the latent stress profile. It is needed to scrutinize stress factors faced by women managers who suffered from the double burden of taking roles in the workplace and at home. We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to scrutinize the stress types among women managers. First, we significantly derived four profiles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ir work and home stress. Second, in the predictor variable, age, the rate of women workers in their teams, and the perception of their supervisors’ gender equal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while spouses’ employment was insignificant. Finally, in outcome variables, the low profiles for both work and home stres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their personal, family, and professional life than the rest of the profiles. Moreover, they positively perceived the women managers’ overall professional life.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ed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Databáze: OpenAIRE